-
반응형
- 한약명 : 금은화 - 꽃을 말린 것 / 인동등 - 잎이 붙은 덩굴을 말린 것
- 다른 이름 : 인동·은화·금화·겨우살이덩굴·인동초·농박나무
- 분포지 : 전국 각지, 산과 들의 양지 바른 곳
- 약초 만들기 : 가을에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 꽃은 6~7월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다
- 식용 : 줄기와 뿌리는 조청·식혜를 만들어 먹는다 / 봄에 어린잎을 채취하여 나물로 무쳐 먹는다
- 꽃차 만들기 : 5~6월에 꽃을 따서 암술과 수술을 제거하고 그늘에 말려 방습제를 넣은 용기에 보관하며, 찻잔에 3송이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2~3분간 우려낸 후 마신다
- 약술 만들기 : 가을에 열매를 채취하여 용기에 넣고 소주를 부어 밀봉하여 3개월 후에 먹는다
염증성 질환에 특효 '인동초'
인동초는 갈잎떨기나무로 추운 겨울에도 이파리 몇 개로 잘 참고 견딘다 하여 그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꽃은 '금은화'로 불립니다.
꽃봉오리·잎·과실·경엽·줄기·뿌리 모두를 씁니다.
인동초는 독이 없어 식용과 약용으로 가치가 높습니다.
인동초는 여러 가지 염증을 소멸하고 모든 독을 제거하기 때문에 염증성 질환에 좋습니다.
그리고 체내에 쌓인 독을 풀어주고 고름을 제거해주기 때문에 종기와 부스럼에 좋습니다.
항균 작용이 강해 피부 가려움·여드름·습진·땀띠에 좋습니다.
민간에서는 손가락 끝에 종기가 나서 곪았을 때 인동초를 달여 먹었습니다.
또한 코막힘이 심하고 재채기를 동반하는 감기에는 생강·대추·파뿌리에 인동초를 배합한 차를 끓여 마시기도 했습니다.
인동초의 약효
- 주로 인동초 꽃은 이질·장염·종기·감기·나력·중독에 쓰입니다
- 인동초의 덩굴은 근골동통·황달·간염·종기에 다른 약재와 처방합니다
- 황달과 간염에 덩굴 약재를 1회에 4~10g씩 달여서 복용합니다
- 어혈과 종기에는 꽃이나 잎을 말린 약재를 가루내어 물에 개어서 환부에 바릅니다
반응형